•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echnology Innovations and Research Needs in the Division of Groundwater and Soil
  • Jongbok Choi1·Younggyu Son1·Young-Soo Han2·Man Jae Kwon3·Seunghak Lee4·Kitae Baek5·Yongseok Hong6*

  • 1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39177, Korea
    2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Korea
    3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4Water Cycl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Seoul 02792, Korea
    5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Resources and Energy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6Department of Environmental Systems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 30019, Korea

  •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지하수토양분야 혁신기술 및 선도연구 소개
  • 최종복1·손영규1·한영수2·권만재3·이승학4·백기태5·홍용석6*

  • 1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2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3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4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자원순환연구단
    5전북대학교 토목환경자원에너지공학부
    6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This article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의 광범위한 사용, 삼림 벌채, 토지사용의 변화 등과 같은 인위적 활동은 대기 중 온실가스(GHGs, greenhouse gases) 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지구의 기후위기를 유발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30년 사이 평균 온도가 1.4oC 상승하였으며,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책임을 다하기 위해 2016년 11월 3일 파리협정을 비준하였다. 이에 파리협정의 목표인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2oC 아래, 가능한 1.5oC 아래로 억제하기 위해 2050년까지 CO2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정책 마련과 함께 경제 및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는 실정이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GHGs 배출을 줄이고, 두번째로 대기에서 CO2 포집을 촉진하기 위해 현재 가동되는 다양한 산업분야의 생산 시스템을 개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고려되고 있다. 그동안 지하수토양 관련 연구분야에서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복원성(resilience), 녹색성장(green growth) 등과 같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녹색정화(green remediation), 자연 저감(natural attenuation), 탄소포집저장(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지열발전 등의 기술이 초기단계로 개발이 되고 연구가 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탄소중립2050의 달성을 위해 고도화되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자연 및 인위기원 탄소배출 연구, 토양의 역할을 고려한 저탄소 토지이용 기술, 광물탄산화 등의 연구 및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탄소중립2050의 간단한 내용과 함께, 이를 달성하기 위한 지하수토양 분야의 혁신기술 및 선도연구를 소개하였다.


Keywords: 탄소중립2050, 녹색정화, 탄소포집저장, 광물탄산화, 지열발전

This Article

  • 2023; 28(S1): 40-54

    Published on Jan 31, 2023

  • 10.7857/JSGE.2023.28.S.040
  • Received on Nov 17, 2022
  • Revised on Dec 13, 2022
  • Accepted on Dec 29, 2022

Correspondence to

  • Yongseok Hong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ystems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 30019, Korea

  • E-mail: yongseokhong@kore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