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le and Contaminant Selection Methods of Soil Quality Standards in Developed Countries
  • Jeong, Seung-Woo;An, Youn-Joo;Kim, Tae-Seung;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Soil and Groundwater Divis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선진국 토양오염 기준의 역할과 기준항목 설정방법
  • 정승우;안윤주;김태승;
  •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Abstract
Many countries have recently established legal regulations and soil quality standards for soil prote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oil quality standards in soil protection policy and methods of selecting standard substances from various types of chemicals. In most countries, soil quality standards act as guidance for further detail surveyor risk assessment from comparing soil concentration with the soil quality standards. Soil quality standards of Switzerland, Demark and Japan were used as enforcement tools. Priority substances for the standards were first selected from frequently detected chemicals in contaminated sites. Those substances were extensively evaluated for toxic effects, exposure potential and availability in chemical analysis.

세계 각국은 토양환경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각국의 상황에 적합한 토양오염기준을 운영하고 있다. 본 총설은 각국의 토양환경관리 정책에서 토양오염기준의 역할과 토양오염기준 항목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토양기준은 토양오염여부를 일차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Guideling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기준치가 오염여부 판단과 관련 행정명령의 지표인 Standard로 활용하고 있는 나라는 스위스, 덴마크, 일본 등이었다. 네덜란드는 Guideline과 Standard를 혼용하고 있었다. 토양오염기준 물질선정은 현장에서 검출빈도수가 높은 토양오염물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독성, 노출, 분석의 용이성, 독성자료의 가용성 등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각 나라는 자국의 토양환경정책 및 기준 설정에 있어 자국의 상황을 고려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Keywords: Soil contaminant;Soil quality standard;Risk;Soil regulation;

Keywords: 토양오염물질;토양기준;위해성;토양법;

This Article

  • 2009; 14(1): 18-28

    Published on Feb 28, 2009

Correspondence to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