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Water Quality in a Catchment Contaminated by $NO_3-N$
  • Kim Youn-Tae;Woo Nam-Chil;Lee Kwang-Sik;Song Yun-Goo;
  •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 Yonsei University;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 Yonsei University;Korea Basic Science Institute;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 Yonsei University;
  • 질산성 질소로 오염된 소유역 하천 수질의 계절 변화
  • 김연태;우남칠;이광식;송윤구;
  •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Abstract
The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was studied in the Hwabongcheon. It runs though a small catchment where shallow groundwater was contaminated with $NO_3-N$ by intensive livestock facilities. A direct inflow of animal waste and incoming of contaminated groundwater affected its water quality. In the dry season, an important factor of water quality in the Hwabongcheon was direct inflow of animal waste. In the wet season, concentrations of $NO_3-N$ in the Hwabongcheon were elevated in spite of being diluted by precipitation.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effect of increased incoming of contaminated groundwater and showed by oxygen and hydrogen isotope values. $NO_3-N$ concentration in the Cheongmicheon was lower than that in the Hwabongcheon, so it increased next a junction. This effect was intense in wet season because $NO_3-N$ concentration in the Hwabongcheon was high.

밀집된 축사의 영향으로 충적층 지하수가 질산성 질소로 심하게 오염되어 있는 소유역을 흐르는 화봉천 수질의 계절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 하천에서 축산폐수의 직접 유입이 확인되었으며, 오염된 지하수 유입으로 인한 수질 변화가 나타났다. 건기에는 축산폐수의 직접 유입이 하천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기에는 강수에 의한 희석효과에도 불구하고 지표수의 질산성 질소 농도가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질산성 질소로 오염된 지하수 유입량 증가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수의 하천 유출은 산소, 수소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하여 증명하였다. 질산성 질소 농도는 화봉천이 청미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화봉천 유업에 의해 청미천의 질산성 질소 농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하천수의 질산성 질소 농도가 높아지는 우기에 이러한 수질 영향이 더욱 커졌다.

Keywords: G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Surface water quality;$NO_3-N$;Oxygen-hydrogen isotope;The South Han river;

Keywords: 지하수-지표수 영향;하천수질;질산성 질소;산소-수소 동위원소;남한강 수계;

References
  • 1. 국무총리 수질개선기획단, 2004,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  
  •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5, 수자원종합정보, www.wamis.go.kr
  •  
  • 3. 기상청 , 2003, 이천 기상관측자료, www.kma.go.kr
  •  
  • 4. 김연태, 2003, 경기 일죽지역의 소유역에 대한 천부지하수의 수질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 5. 김연태, 우남칠, 2003, 축사가 밀집된 농촌지역 천부지히수의 질산염 오염특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 8(1), 57-67
  •  
  • 6. 서울대학교, 2004, 21세기 프론티어연구 개발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지하수 활용을 위한 오염예방 및 저감기술 개발, 과학기술부, p. 33-78
  •  
  • 7. 이광식, 이창복, 1999, 남한 강수와 하천수의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 조성 , 지질학회지, 35(1), 73-84
  •  
  • 8. 이광식, 고동찬, 이대하, 박원배, 2002, 제주도 강수의 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분포:지하수 함양에의 응용, 지질학회지, 38(2), 151-161
  •  
  • 9. 이재관, 신동석, 김태훈, 정동일, 이덕길, 2001, 전국오염원 현황 조사, 국립연구원보 제 23호, p. 279-293
  •  
  • 10. 환경부, 1998, 상수원 관리규칙 (환경부령 제 40호)
  •  
  • 11. Canter, L.W., 1996, Nitrates in Groundwater, CRC Press LLC, New York, p. 1-18
  •  
  • 12. Choi, W.-J., Han, G-H., Ro, H.-M., Yoo, S.-H., and Lee, S.-M., 2002, Evalu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of unconfined groundwater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of Korea using nitrogen isotope ratios, Geosciences Journal, 6(1), 47-55
  •  
  • 13. Criss, R.E. and Davisson, M.L., 1996, Isotopic imaging of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s, Sacramento Valley, California, J. Hydrol., 178, 205-222
  •  
  • 14. Fetter, C.W., 1994, Applied Hydrogeology, 3rd Edition, Prentice Hall, New Jersey, p. 47-76
  •  
  • 15. Mueller, D.K. and Helsel, D.R., 1996, Nutrients in the nation's water-Too much of a good thing?,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136
  •  
  • 16. Negrel, Ph., Petelet-Giraud, E., Barbier, J., and Gautier, E., 2003,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s in an alluvial plain: Chemical and isopotic systematics, J. Hydrol., 277, 248-267
  •  

This Article

  • 2005; 10(2): 20-27

    Published on Apr 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