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Effect of the Chang in Forest Environment on physico-chemical Properhes of Soil Located in Seoul Royal Tomb
  • Nam, Yi;Yee, Sun;Bae, Sang-Won;
  • Farm Supply Dept. Agro-Fertilizer & Save Soil Team, N.A.C.F;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서울 왕릉지역의 산림환경변화가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 남이;이선;배상원;
  • 농협중앙회 흙살리기팀;한국전통문화학교;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Abstract
The soil properties of the royal tombs (managed by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located in Seoul and suburban Gyonggi area were investigated to see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soil environment on the royal tomb s이I. To compare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four royal tombs soil of Changdeokgung, Jongmyo, Seooneung, and Dongguneung, pH, organic content, available phosphate, extractable calcium, extractable potassium, extract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degree of base saturation,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Cd, Pb, and Cu measured as the degre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can be an indication of atmospheric pollution in the soil environment. To estimate the degree of soil compaction, soil hardness, pore space, porosity, bulk density, and soil atmosphere were analyzed. Through these studies,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The soil hardness and pore space which can be used as indexes of soil compaction, were worse in the soil of Seooneung than in those of Changdeokgung and Dongguneury. These phenomena seem to be the result of increase in visitors in Seooneung and Dongguneung better and soil management in Changdeokgung and Dongguneung. When three different regions of forest area, prohibited area, and soil compaction area in Seooneung soil were compared, the degree of compaction in the forest area was less than compaction area, indicating the need for the employment of soil resting period in the compaction area. 2. The pH measurements of all four royal tombs soil were higher in top soil than sub soil. The higher soil pH values in Jongmyo and Seooneung seem to result from the application of soil conditioner. In the case of Seooneung, the values for soil pH and organic content were higher in the forest area than those in compaction area. It is thought that active soil management was employed in the forest area through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s and soil conditioners. 3. The heavy metal contents from soil of Changdeokgung and Jongmyo were higher than that from soil of Dongguneung. Since Changdeokgung and Jongmyo are located inside Seoul, it is thought that the high level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se royal tomb soil is the result of accumulation of pollutants from the city.

서울 및 경기지역의 문화재청 관할(창덕궁, 종묘, 서오릉, 동구릉) 왕릉지역에 대한 토양조사를 실시하여 산림환경변 화가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창덕궁, 종묘, 서오릉, 동구릉의 4개 왕릉 지역의 토양화학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pH,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칼슘, 칼륨, 마그네슘, 양이온치환용량, 염기포화도, 전질소를 분석하였고 토양 내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토양 내 중금속(Cd, Ph, Cu)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토양의 답압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경도, 통기성, 공극율, 기상율, 가비중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토양의 답압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토양경도와 통기성은 종묘와 서오릉지역이 창덕궁과 동구릉지역보다 불량하였으며 이는 출입하는 내방객의 증가와 지속적인 토양관리의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특히 서오릉지역의 토양경도와 통기성을 산림지역, 출입통제지역, 답압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산림지역이 답압지역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토양관리를 위한 안식년제를 도입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2) 4개지역의 토양 pH는 표토가 심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종묘와 서오릉지역의 토양 pH가 창덕궁 및 동구릉지역 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시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서오릉의 산림지역의 경우 토양 pH와 유기물 함량이 답압지역보다 높게 나타나 시비 등 토양관리가 식물생육환경으로서의 토양개선에 효과적임을 반영하였다. 3) 4개지역의 토양 내 중금속함량은 서오릉 및 동구릉지역에 비해 창덕궁 및 종묘지역에서 높게 나타나 서울 도심권에 위치할수록 대기로부터 유입된 중금속류의 축적이 많음을 시사하였다.1}(@52.7^{\circ}C)$ 이었다. 토양의 초기 TPH 농도 대비목표 농도를 870 mg/kg으로 가정했을 경우 소요 복원기간은 $2\mu9$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을 나타내었으나 특이하게 pH 4.7로 단맛과 신맛을 함께 지니고 있었다. 7. NK-T2의 사료가치 검정평가 결과 개량뽕과 비교하여 유충기간과 화용비율, 견충비율은 거의 비슷하였으나, 단견중, 견층중. 2만두 수견량은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 엽질이 비교적 우량하다고 평가되었다. 8.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개량뽕을 급이한 대조구 간에는 서로 거의 유사한 아미노산 조성을 보여주었으나 MK-T2를 급이한 시험구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여 Leu에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Ile는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MK-T2 시험구에서는 검출되었다. 9.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 에탄올 추출물의 약리효과 검정결과 누에 에탄을 추출물을 투여한 쥐에서 적출한 신장조직에 대한 HE 염색 및 조직면역화학염색 모두에서 조직학적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고 $TGF-{\beta}1$ 단백 발현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 수준으로 낮아졌다.며, 앞으로 LTCC가 발전 해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e 121.9 ${\mu}g/100mg$ 함유되어 있었다. 버뮤다그라스(Cynodon dactylon)에서 발견되었다.이 설치 운영하고 있는 측정 장비에 의해 취득한 기상자료를 공동 활용하여 표출하면 더욱 상세한 자료의 획득과 활용이 기대되어 진다. 또한, 금번 논문에서는 산불위험지역의 격자점(15km)내

Keywords: Royal tomb;Soil compaction;Pore space;porosity;Bulk density;Soil atmosphere;

Keywords: 왕릉;다압;공주;공극율;자비중;기상율;

References
  • 1. 문화재청, 2002, 창덕궁종묘원유, p. 576
  •  
  • 2. 문화재청, 2003, 서오릉 산림생태 조사연구 보고서, p. 304
  •  
  • 3. 농촌진흥청, 2003, 농업환경변동조사사업, p. 200
  •  
  • 4. 김복영, 정병간, 최정원, 윤을수, 최선, 1995, 우리나라 논토양 중 중금속 자연함량,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8(4), 295-300
  •  
  • 5. 김춘식, 유정환, 변재경, 정진현, 이봉수, 1999, 서울시 산림토양내 중금속 분포, 한국임학회지, 88(1), 111-116
  •  
  • 6. 조성진, 박천식, 엄태이, 김문규, 김성교, 김재성, 김현구, 김영옥, 양창슬, 육창수, 임수길, 1994, 삼정토양학, 향문사, p. 384
  •  
  • 7. 남이, 박승기, 1997, 산림환경변화가 토양내 수저유능력과 유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환경학회지, 2(2), p. 17-33
  •  
  • 8. 前田正男, 松尾嘉郞, 1997, 図解 土壤의 基礎知識, p. 211
  •  
  • 9. 농촌진흥청, 2001,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p. 202
  •  
  • 10. 농림부, 2003, 비료 . 농약관리법령, p. 273
  •  

This Article

  • 2005; 10(3): 32-37

    Published on Jun 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