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aluation of Hydrogeochemistry of Geothermal Water at Heunghae, Pohang Using Pumping Test Results
  • Cho Byong-Wook;Yun Uk;Song Yoon-Ho;
  •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양수시험에 의한 포항 흥해지역 심부지열수의 수리지화학적 규명
  • 조병욱;윤욱;송윤호;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Abstract
Hydrogeochemistry of deep geothermal water (temperature: $42.2-47.9^{\circ}C$) at Heunghae, Pohang was evaluated using core logging,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logging before and after pumping tests, chemical analysis of geothermal water with depth, and observation of water quality variations during pumping tests. The geology of the area is composed of highly fractured marine sedimentary rocks. The hydrogeochemistry of geothermal water varies with drilling depth, distance from the coast, and pumping dur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EC variations during 4 times of pumping tests, main aquifer of the area is considered as the fractured zones (540 to 900 m) developed in rhyolitic rocks. The high content of Na and $HCO_3$ in geothermal water can be explained by the inflow of deep groundwater from inland regulated by dissolution of silicates and carbonates. High TDS, Na and Cl concentrations indicate that the geothermal water was also strongly affected by seawater. The molar ratios of Na:Cl ($0.88{\sim}2.14$) and Br:Cl ($21.0{\sim}24.9{\times}10^{-4}$) deviate from those of seawater (0.84 and $34.7{\times}10^{-4}$,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water-rock interactio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water quality.

코아검층, 양수시험 전후의 온도와 전기전도도 검층, 섬도별 지열수의 수질분석, 양수시험시 지열수의 수질변화 관측 을 통하여 포항 흥해지역 심부지열수 ($42.2-47.9^{\circ}C$) 의 수리지화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하지질은 파쇄 정도가 심한 해성 기원의 퇴적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열수의 수질은 굴진심도,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양수시간에 따라 달라짐을 보였다. .4 차례의 양수시험시 수온, 전기전도도 변화를 볼 때, 연구지역 지열수의 주 대수층은 심도 540-900 m까지의 유문암에 발달된 파쇄대로 판단된다. 연구지역 지열수의 Na 와 $HCO_3$ 함량이 높은 것은 탄산염과 규산염의 용해가 활발한 내륙쪽에서 유입되는 심부 지하수의 기여 때문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 지열수는 높은 총고용물질, Na, Cl 함량으로 보아 해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Na:Cl 몰비가 $0.88{\sim}2.14$ 로 해수의 0.84 보다 높으며, Br:Cl 함량비도 $21.0{\sim}24.9{\times}10^{-4}$ 으로 해수의 $34.7{\times}10^{-4}$ 에서 벗어나고 있어서 물-암석반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Keywords: geothermal water;Drilling depth;Pumping test;Electrical conductivity;Seawater;

Keywords: 지열수;굴진심도;양수시험;전기전도도;해수;

References
  • 1. 고동찬, 이진수, 이승구, 송윤호, 2004, 포항지역 지열수에 대한 고찰, 2004 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p. 453-454
  •  
  • 2. 김통권, 이진수, 이승구, 송윤호, 2004, 포항지역 지열수에 대한 지화학적 고찰, 2004 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p 101-103
  •  
  • 3. 김형찬, 이사로, 송무영, 2004, 남한지역 지질특성과지열류량의 상호관련성 자원환경지질, 37(4), 391-400
  •  
  • 4. 문상호, 이철우, 성기성, 김용제, 2000, 포항(성곡)지구 온천공조사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온천공조사보고서, p.62
  •  
  • 5. 배두종, 이승구, 김옥환, 홍기균, 1993, 영일 성곡지구 온천공조사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온천공조사보고서, p.66
  •  
  • 6. 송윤호, 이창범, 박덕원, 김형찬, 이철우, 이성곤, 이종철, 이병태, 박인화, 이태종, 조병욱, 염병우, 이승구, 이봉주, 기원서, 박노욱, 박영수, 임무택, 현혜자, 손정술, 임형래, 황세호, 오재호, 김세준, 이윤수, 김민규, 박찬, 정용복, 천대성, 김통권, 이진수, 임성근, 2004, 심부지열에너지 개발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226
  •  
  • 7. 윤욱, 조병욱, 2005, 심도변화에 따른 홍해지역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지질공학, 15(4), 391-405
  •  
  • 8. 이상규 황학수, 황세호 , 이승구, 이대하, 염병우, 문상호, 최위찬, 고동찬, 성낙훈, 박인화, 이철우, 2000, 해수침투 평가, 예측 및 방지기술 개발, 한국지질지원연구원, p.474
  •  
  • 9. 이철우, 성기성, 2002, 포항(장성)지구 온천공 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 61
  •  
  • 10. 이철우, 이종철, 민충기, 김용제, 성기성, 조용찬, 김구영, 2003, 포항(이인)지구 온천공조사 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 65
  •  
  • 11. 조병욱, 이병대, 윤욱, 임현철, 2003, 지하수의 Br : Cl 함량비를 이용한 울산지역 해수침입 연구, 자원환경지질, 36(5), 339-347
  •  
  • 12. Chae, G.T., Yun, S.T., Kim, K.J., and Mayer, B., 2006, Hydrochemistry of sodium-bicarbonate type bedrock groundwater in the Pocheon spa area, South Korea: wa.er-rock interaction and hydrologic mixing, J. Hydrology, 321, 326-343
  •  
  • 13. Ellis, A.J., 1971, Magnesium ion concentrations in the presence of Mg-chlorite, calcite, carbon dioxide, and quartz, Am. J. Sci., 271, 481-489
  •  
  • 14. Ellis, A.J. and Mahon, W.A., 1977, Chemistry and geothermal systems, Academic Press, New York
  •  
  • 15. Fetter, C.W., 1993, Contaminant hydrogeology,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p. 458
  •  
  • 16. Hwang, I.G., 1993, Fan-delta systems in the Pohang basin (Miocene), SE Korea, PhD Thesis, Seoul Nat'l Univ. p. 973
  •  
  • 17. Gaona-Vizcayno, S., Gordillo, T., and Farvolden R.N., 1985, Quality of water in an aquifer and its manifestation in pumping wells, J. of Hydrology, 78, 165-181
  •  
  • 18. Garrels, R.M., Mackenzie, F.T., and Hunt, C.A., 1975, Chemical cycles and the global environment: assessing human influences, William Kaufmann, Inc., Los Altos, CA, p. 206
  •  
  • 19. Morris, A.W. and Riley, J.P., 1966, The bromide/chlorinity and sulphate/chlorinity ratios in seawater, Deep-sea Research and Oceanographic Abstracts 13(4), p. 699-705
  •  
  • 20. Richter, B.C. and Kreitler, C.W., 1993, Geochemical techniques for identifying sources of groundwater salinization: Boca Raton, FL, C.K. Smoley, p. 258
  •  

This Article

  • 2006; 11(3): 20-30

    Published on Jun 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