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moval of Cr, Pb and Cd from Reservoir Sediment by Electrokinetic Technique
  • Shin, Hyun-Moo;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 동전기를 이용한 유수지 오염 퇴적토내 Cd, Pb 및 Cr제거
  • 신현무;
  • 경성대학교 걸설환경공학부;
Abstract
For the reservoir sediment highly contaminated with total Cr, Pb, and Cd, the applicability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method was evaluated. Also, BCR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was adopted to compare the heavy metal speciation in between before and after electrokinetic reaction that is operated under constant current condition for the sediment. After reaction, total Cr and Pb moved toward the direction of anode, while Cd tended to cathode and stayed highest in the midst of sediment specimen. From the BCR 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it was known that for total Cr and Pb the residual fraction that showed high fraction before reaction decreased and changed to the oxidation fraction. On the other hand, for Cd the fraction of exchangeable/carbonate that dominated most fractions before reaction changed to the residual and oxidation fractions.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세법의 적용이 곤란한 낮은 투수성의 중금속오염이 심각한 E 유수지의 퇴적토에 대하여 동전기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퇴적토 내 총 Cr, Pb,Cd농도 및 퇴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또한 BCR 연속추출법을 통하여 동전기복원 전후 중금속들이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오염 퇴적토 내 중금속의 처리 가능부분에 대한 평가 하였다. 동전기를 적용한 결과, 총 Cr 및Pb는 양극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반면 Cd의 경우는, 동전기정화 전 대부분이 이온교환/탄산염 결합태를 차지하고 있어 제거가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양극 쪽 보다는 토양 체의 중간에 가장 높게 그리고 전체적으로 음극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때, 양그 쪽의 총 Cr농도는 초기 농도보다 약 3.5배 증가한 반면, 음극 쪽에서는 대부분 제거되고 매우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동전기복원전과 처리 후 퇴적토 내 중금속 결합형태를 각 구간 중 양극부분과 음극부분과 비교한 결과, 총 Cr은 잔류태가 양극과 음극 쪽에서 감소한 반면, 산화물 태는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Pb의 경우도 반응 전에 비해 반응 후 반잔류태 부분이 감소하고 산화물 태 부분이 다소 큰 폭으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양극 부분 보다는 음극부분에서 분율이 증가되어있다. 그러나 Cd는 반응 전 대부분을 차지하던 이온교환/탄산염 결합 태부분은 양극과 음극부분에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반응 전 무시할 정도로 낮았던 잔류 태 부분 및 산화물 태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Sediment remediation;Electrokinetic technique;Heavy metal;BCR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Keywords: 퇴적토복원;동전기방법;중금속;BCR연속추출법;

References
  • 1. 박영규, 이무강, 조병락, 2001, 분석화학, 형설출판사, p. 614
  •  
  • 2. 보건환경연구원보, 2007, 부산지역의 하상퇴적물 오염도조사, 부산시 보건환경 연구원. p. 288
  •  
  • 3. 윤삼석, 2002, Electrokinetic 기술에 의한 광산퇴적토의 중금속 정화특성,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부산
  •  
  • 4. 이창언, 2002, 향상된 Electrokinetic 기법에 의한 광산퇴적토에서의 중금속제거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  
  • 5. 정하익, 1996, Electrokinetic 정화기술에 의한 오염지반내의 중금속제거,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인천
  •  
  • 6. 한상재, 2000, Electrokinetic 기법에 의한 오염토의 전기삼투와 중금속 이동특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  
  • 7. Acar, Y.B. and Alshawabkeh, A.N., 1993, Principles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J. of Environ. Sci. Technol., 27(13), 2,638-2,647
  •  
  • 8. Acar, Y.B, Rabbi, M.F., and Ozsu, E.E., 1997, Electrokinetic injection of ammonium and sulfate ions into sand and kaolinite beds, J.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123(3), 239-249
  •  
  • 9. Alshawabkeh, A.N. and Acar, Y.B., 1996, Electrokinetic remediation. : Theoretical model, J. of Geotechnical Engineering, 122(3), 286-196
  •  
  • 10. Kim, B. and McBride, M.B., 2006, A test of sequential extraction for determining metal speciation in sewage sludge0amended soils, Environ. Pollution, 144, 475-482
  •  
  • 11. Kolthoff, I.M., Sandell, E.B., Meehan, E.J., and Bruckenstein, S., 1969,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4th Ed., Macmillan, London, p. 1199
  •  
  • 12. Lindgren, E.R., Kozak, M.W., and Mattson, E.D., 1994,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unsaturated soils, Proceeding of the American Society Symposium Series on Emerging Technologies in Hazardous Waste Management IV; Washington, DC, USA, p. 33-50
  •  
  • 13. Quevanuviller, P., Rauret, G., L$\acute{o}$ pez-Sanchez, J.L., Rubio, R., Ure, A., and Muntau, H., 1997, Certification of trace metal extractable contents in a sediment reference metal (CRM601) following a three-step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al, Sci. Total Environ., 205, 223-234
  •  
  • 14. Rai, D., Eary, L.E., and Zachara, J.M., 1989, Environmental chemistry of chromium, Sci. Total Environ., 86, 15-23
  •  
  • 15. Rauret, G., Lopez-Sanchez, J-F., Sahuquillo, A., Rubio, R., Davison, C., Ure, A., Quevauviller, Ph., 1999, Improvement of the BCR three step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prior to the certification of new sediment and soil reference materials. J. of Environ. Monitoring, 1, 57-61
  •  
  • 16. Rendell, P.S., Batley, G.E., and Cameron, A.J., 1980., Adsorption as a control of metal concentrations in sediment extracts. Environ Sci. Technno, 14(3), 314-318
  •  
  • 17. Renholds, J., 1998, In Situ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s, http://clu.in.org, p. 27
  •  
  • 18. Shapiro, A.P. and Probstein, R.F., 1993,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staturated clay by electro-osmosis, Environ. Sci Technol., 27(2), 283-291
  •  
  • 19. U.S.EPA., 1995, In-situ remediation technology status report; Electrokinetics, 2-K-94-009
  •  
  • 20. Stumm, W., 1992 Chemistry of the solid-water interface, Wiley InterScience, New York, p. 428
  •  

This Article

  • 2009; 14(1): 68-77

    Published on Feb 2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