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of Groundwater in the Ponchon Area, Kwangju
  • 광주, 본촌지역의 지하수의 수화학적 특성과 오염
  • 양해근;김인수;최희철;김정우;
  • 일본 입정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Abstract
In this study, the contaminated status of groundwater under Ponchon Basin, Kwangju-city was analyzed by hydrogeological survey. Though the distribution of groundwater hydraulic head was similar with the ground elevation, the flow system of groundwater was changed due to overpumping in the industrial area. Paddy field and residential area which were located in the north part of the basin ha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Cl, N $a^{+}$ and N $O_3$$^{[-10]}$ in the groundwater. Southern part of the basin which most industrial area occupied ha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HC $O_3$, $Ca^{2+}$, $Mg^{2+}$ and Zn. Groundwater was contaminated by C $l^{[-10]}$ and N $O_3$$^{[-10]}$ due to the infiltration of domestic sewage and factory wastewater. In the Cl case, C $l^{[-10]}$ had a tendency of distribution over the water shed along with the contaminated source. The drawdown of groundwater due to overpumping caused more vertical movement of contaminant than lateral movement. If the overpumping continues in the industrial area, the groundwater flow system will be more affected and the groundwater will be lowered in the north part of basin. It is clear that contamination by C $l^{[-10]}$ and N $O_3$$^{[-10]}$ due to domestic sewage and factory wastewater will spread through the whole basin area.rea.

본 연구에서는 광주 본촌분지를 대상으로 지하수의 오염현황을 분석하고, 수문지질구조와 수두의 분포 그리고 지하수의 수화학적 조성으로부터 오염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지의 수두분포는 대체적으로 지형면을 반영하고 있으나, 과잉양수에 의한 지하수 유동계의 변형이 나타나고 있다. 농경지와 주거지가 혼재된 분지 북부에서는 Cl와 EC, Na, $NO_3$농도가 비교적 높았으며, 공업단지가 입지한 분지 남쪽에서는 $HCO_3$$Ca^{2+}$, $Mg^{2+}$, Zn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Cl-과 N $O_3$농도에 의한 오염은 생활.공장폐수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Cl의 경우에는 특정 오염원을 기점으로 하천수계를 따라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오염원의 분포와 농도분포를 고려할 때 오염물질의 수평 분산보다는 공단지역의 과잉양수에 의한 지하수위의 저하로 수직이동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공단지역에서의 지하수 과잉양수가 지속될 경우, 지형면을 따라 형성된 유동계가 더욱 왜곡되고, 지하수위의 급격한 저하는 분지 북부지역에 까지 미치게 될 것이다. 더욱이 분지 북부의 생활 공장폐수에 의한 염수화 현상 또는 질소오염은 분지 전역으로 확산될 것은 자명하다.현상 또는 질소오염은 분지 전역으로 확산될 것은 자명하다.

Keywords: Groundwater;Groundwater use;Distribution of contamination;Water table;Chemical composition;

Keywords: 지하수;지하수 이용;오염물질 분포;지하수면;수화학적 조성;

This Article

  • 2001; 6(4): 83-95

    Published on Dec 1,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