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ypes and Recharges of Groundwater : Analysis on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Data
  • 지하수위 유형과 유역별 지하수 함양률의 관련성 연구 :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의 분석
  • 문상기;우남칠;이광식;
  •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Abstract
This study is objected to demonstrate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ground-water recharge by classifying the types of ground-water hydrographs and assessing the recharge ratio(the ratio of the rise of ground-water level to cumulative precipitation) of each type using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data. A total of 5 type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on the ground-water hydrographs nationwide. The recharge ratio of each type were estimated to be 6.5% (TYPE I), 4.1 % (TYPE II), 9.2%(TYPE III), 5.8 %(TYPE IV), 15.3 %(TYPE V) in the confidence level of 95.44% and 6% variation was estimated site by site even in the same type. The recharges of Han, Nakdong, Keum, Youngsan¡¤Seomjin river basins were estimated as 10.0 %, 6.1 %, 8.3 %. and 6.6 %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existing baseflow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지하수위 변동 곡선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함양률을 평가하여 지하수 함양률의 공간적 변동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전국 지하수의 수위 변동 곡선을 구분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 방법을 사용했으며 그 결과 총 5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함양률은 95.44%의 신뢰도 수준에서 6.2 %(유형 I), 4.1 %(유형 II), 9.2 %(유형 III), 5.8 %(유형 IV), 15.3 %(유형 V)로 추정되었으며 한 유형에서도 관측 지점별로 약 6 %의 변화폭을 보였다. 지하수위 변동 곡선법을 이용하여 유역별로 지하수 함양률을 평가한 결과 한강과 금강 유역에서는 각각 강수량 대비 10.0 %, 8.3 %의 함양률을 보였고, 낙동강 및 영산강·섬진강 유역에서는 각각 6.1 %, 6.6 %의 함양률을 보였으며 기저유출법에 의해서 유역별로 함양률을 추정한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수 함양률이 수위 변동 곡선의 유형별 혹은 유역별로 변동성을 가짐을 규명할 수 있었다.

Keywords: Recharge Ratio;Factor Analysis;Ground-Water Hydrograph;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Keywords: 함양률 요인분석;지하수위 변동 곡선;국가지하수 관측망;

References
  • 1. 박창근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1. 개념 정립과 기법의 개발', 지하수환경, 3(1), pp.15-20(1996a)
  •  
  • 2. Sophocleous, M. A. 'Combining the Soil Water Balance and Water-Level Fluctuation Methods to Estimate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Practical Aspects' , Journal of Hydrology , 124, pp. 229-241(1991)
  •  
  • 3. 선우중호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의 필요성', 물 관련 정책토론회, 건설부, 한국수자원공사, pp. 99-119(1992)
  •  
  • 4. 한정상 '지하수개발과 관리대책', 수자원 개발과 보존대책, 한국수자원공사, pp.39-103(1995)
  •  
  • 5. 박창근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2.5대 강 유역에의 적용', 지하수환경, 3(1), pp. 21-26(1996b)
  •  
  • 6. 원이정, 김형수, 한 찬 '낙동강 진동 및 왜관 수문 자료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방식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사]산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창립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지하수관련 제도개선방안 특별세미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157(2000)
  •  
  • 7. 최병수, 안중기 '지역단우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지하수환경, 5(2), pp. 57-65(1998)
  •  
  • 8. 김건영 '지하수 함양 특성 해석을 위한 동위원소적용',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 춘계학술대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p. 149-152(2001)
  •  
  • 9. 문상기, 우남칠 '누적 강수량과 지하수위 곡선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률 추정 기법', 지하수토양환경, 6(1), pp.33-43(2001)
  •  
  • 10. Winter, T.C. , Mallory, S.E. , Allen, T.R. , and Rosenberry, D.O. 'The Use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Interpreting Ground Water Hydrographs', GROUND WATER, 38(2), pp. 234-246(2000)
  •  
  • 11. 건설교통부, 지하수관측연보(2000)
  •  
  • 12. 한국기상청, 기후자료 중 월별 일값, http://www.kma.go.kr (2000)
  •  
  • 13. 한국수자원공사, 전국 충적층 지하수 조사 보고서(1996)
  •  
  • 14. 허만형, SPSS 10.0 for Windows 통계분석론, 법문사 (2001)
  •  
  • 15. 류성렬, 'GIS를 이용한 무주 지역의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1-33(2000)
  •  
  • 16. John C. Davis,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in Geology 2nd ed., JOHN WILEY & SONS, pp. 527-579(1986)
  •  
  • 17. SPSS Inc Headquarters, SPSS for Windows release 10.0.5, 233 S. Wacker Drive, 11th floor, Chicago, illinois 60606 (1999)
  •  
  • 18. 허명희, 양경숙, SPSS 다변량자료분석, SPSS아카데미, p.35(2001)
  •  
  • 19. Freeze, R. A. Cherry, J. A., GROUNDWATER, p. 61, New Jersey, Prentice-Hall (1979)
  •  
  • 20. 이동률, 윤용남 '우리나라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과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6(Ⅱ-4), pp. 321-334(1996)
  •  
  • 21. Kenneth R. Bradbury, Weston Dripps, Chip Hankley, Mary P. Anderson, and Kenneth W. Potter, Refinement of Two Methods for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s, Wisconsin Geological and Natural History Survey (2000)
  •  

This Article

  • 2002; 7(3): 45-59

    Published on Sep 1, 2002